"서울시 '고독사' 연간 300여명…지자체별 촘촘안전망 구축 시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416회 작성일 18-07-30 20:55 본문 "'셀프 장례' 준비하는 다사(多死)사회 일본, '자녀에 부담주기 싫어'" -중앙일보- '인생의 끝(終)을 위한 활(活)동'. 초고령화사회인 일본에서 노인들이 스스로 자신의 임종을 준비하는 이른바 '슈카쓰(終活)'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극심한 고령화 먼저 겪은 일본, '이것' 서둘렀다" -중앙일보- 국민 4명 중 1명(26.7%·2015년). 세계 최고 수준인 일본의 노인 비율이다. 일본은 고령화 문제도 한국보다 10~20년 앞서 겪었다. "공영 장례 확산 되면 무연고 사망자 줄어들 것" -한국일보- 9일 오후 1시 경기 고양시 서울시립승화원 2층 유족대기실에선 장례 준비가 한창이었다. 갓 뽑은 꿀떡과 인절미, 한과 약과들이 모여 있는 한 편에서 4, 5명이 제기그릇과 참외, 사과 같은 제철 과일을 반짝이게 닦고 있었다. "무연고 사망자 및 고독사, 중년층 가장 많아" -시사상조뉴스- 홀로 죽음을 맞는 고독사는 노인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40~50대 중년층의 ‘중년고독사’가 65세 이상 노인의 ‘황혼고독사’에 비해 심각한 문제로 드러났다. "서울시 '고독사' 연간 300여명…지자체별 촘촘안전망 구축 시급" –서울복지신문- 전국적으로 1인 고령화 가구가 증가하면서 혼자 삶을 마감하는 무연고 사망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렇다면 서울시는 어떨까. 서울시의 무연고 사망자 사후 복지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시, '건전한 장례문화 정착' MOU 등" -뉴시스- ◇부산여성소비자연합-시민장례식장 ‘건전한 장례문화 정착’ MOU ㈔부산여성소비자연합은 24일 오전 11시 부산진구 자유평화로에 위치한 시민장례식장 MVG룸에서 장례식장 소비자피해예방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다고 23일 밝혔다. "고창군 상하면, 무연묘지에 개장 푯말 설치" -전북도민일보- 고창군 상하면은 효율적 농경지 이용을 위해 개장해야하는 농경지 내 무연묘에 대해 대대적으로 ‘안내 푯말’을 설치하고 있다. 지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총 79건의 무연분묘 정비사업을 추진한 상하면은 농경지 안에 있는 무연묘지가 곧 개장됨을 알리는 안내푯말을 설치, 주민들이 알 수 있도록 했다. "김제 서남권 화장시설 지원 예산 배분 놓고 갈등 '눈살'" –전북일보- 김제시가 서남권 화장시설 주변 지역개발사업 지원을 추진 하고 있는 가운데 해당 지역 출신 시의원들의 입장이 각각 달라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눈치 보기에 급급 하고 있어 해당 시의원 및 행정, 주민대표 간 조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시에 따르면 서남권 화장시설 주변 지역개발사업을 위해 총 22억원을 지원할 예정으로, 올해 11억원을 지원 하고... "내 뜻대로 눈감을 수 있는 권리, 누릴 준비 되셨나요?" -부산일보- 존엄한 마지막을 선택할 권리. '웰다잉(well-dying)법'으로 불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이 지난 4일 일부 시행됐고 내년 2월 본격 발효된다. "부모의 죽음을 맞은 어린 아이에게 해 줄 수 있는 일" -제주일보-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는데 아이들이 부모의 죽음을 경험하면 주변 어른들은 걱정한다. 죽음을 이해하기에 너무 어린데 죽음을 알리게 되면 혹시 이해할 수 없는 생각 때문에 더 큰 부담을 느끼게 하는 건 아닌지 두려워 한다. 목록 이전글"'노인 고독사를 막자'···부산시, 말벗로봇 보급 추진" 18.07.30 다음글"인천시, 4대 약자 친화도시 조성...'시립 치매전문 종합센터·장례식장 건립'" 18.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