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복 입는 법 (전통식)
- 현재 페이지 경로
- HOME > 상·장례 자료실 > 상복 입는 법
상복은 고인의 친가 쪽 8촌까지 입는다.
상복을 입는 절차를 성복이라고 하며 대렴 한 그 이튿날로서 돌아가신 지 4일째 되는 날이다.
남의 자식이 된 사람은 차마 부모가 죽은 것으로 여길 수 없어 급히 성복하지 않고 4일이 된 후에 성복을 한다.
이렇게 생각하면 대렴과 성복을 같은 날 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그런데 염습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하여
3일이 지난 후 대렴을 하고 그 다음날 성복을 하니 이것은 본래의 예에 어긋나는 행위이다.
남자의 상복
- 직계상주
- 굴건제복+작지
- 백관
- 두건+두루마기+행전
- 미혼자
- 혼인하지 않은 남자는 굴건(또는 두건)을 하지 않으며
수절만 착용한다.
- 착용법
- 바지저고리, 두루마기, 제복은 한복 착용법과 동일하다.
- 행전의 매듭
- 행전은 매듭이 다리 안쪽으로 가도록 하고,
매듭이 뒤쪽을 향하도록 한다.
- 수질과 요질
- 수질과 요질은 고인께서 남자이면 매듭이 왼쪽으로,
여자이면 오른쪽으로 가도록 착용한다. (남녀 동일)
- 죽장과 목장
- 고인께서 남자이면 죽장을 여자이면 목장을 짚는다.
(남녀동일)조문 시 지팡이를 양손으로 잡고 절한다.
이 때 고인께서 남자이면 지팡이 머리가 왼쪽으로 오도록 하고,
여자이면 오른쪽으로 오도록 한다.
여자의 상복
- 며느리
- 흰색 치마저고리+복치마+복저고리+수질+작지
- 딸
- 흰색 치마저고리+수질+복조끼(출가한 딸)+작지
- 백관
- 흰색치마저고리+수질
- 착용법
- 여자용 상복 착용은 한복 착용법과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