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사후제)

본문 바로가기
24시간 장례접수 1544-6211

제사 (사후제)

제사 (사후제)

현재 페이지 경로
HOME > 상·장례 자료실 > 제사
삼우의례
예로부터 조상을 제대로 모시지 못하면 그 화가 후손에게 미친다고 믿어 왔고 현대에는 가족의 죽음을 믿지 못하고 슬퍼하는 가운데 다시 깨어나길 기원하는 뜻으로 사후에도 제의례를 하게 되었다.
따라서 삼우의례를 행하게 되었는 바 부모의 장례를 지낸 후 고인의 영혼이 방황하는 것을 위로하고 편안하게 다른 세계로 갈 수 있도록 기원하는 마음에서 초우, 재우, 삼우제를 지냈다.
이를 불교, 유교에서는 고인의 혼이 신주가는 그 시간이 3일정도 된다 믿어 3일째 되는 날 성묘를 하면서 고인의 혼백을 산소에 매장하는 제례를 행하게 되었다.
현대에는 건전가정의례준칙을 적용하여 초우, 재우 의례는 생략하고 종교와 관계없이 삼우의례를 행하고 있다.
사십구제
고인이 된지 49일째 되는 날 좋은곳에서 다시 태어나길 기원하며 행하는 불교의식이며, 영혼을 좋은 세계로 인도한다는 의례로 자리하고 있다.
장례 후 매 7일마다 7차례 제를 지내는 것으로 "칠칠제"라고도 함
현대 사회에서는 불교, 유교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탈상
상기가 끝나 상복을 벗는 절차를 탈상이라 하며, 예부터 우리나라는 3년으로 하고 있으나 현대에 와서는 삼우의례나 사십구제가 끝나면 탈상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우리 전통문화 예절로 볼 때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어쩔 수 없는 형태로 발전하였으므로 우리의 마음가짐은 효와 예를 다하는 민족의 자긍심을 갖고 살아야 할 것 이다.
기일
1년 단위로 고인이 돌아가신 날.
이날이 오면 고인을 추모하는 제의례를 행하는데 이를 기일제라고 하며 저녁 시간에 주로 제를 지낸다.
이때 고인의 장자나 장손의 집에서 지내며 제주로서 제의례를 주재한다.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3395
장례접수 : 1544-6211l이메일 : seyoung2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131-93-21261l상조서비스
Copyright (c) 2024 by www.공공기관상조.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