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별 (불교)

본문 바로가기
24시간 장례접수 1544-6211

종교별 (불교)

종교별 (불교)

현재 페이지 경로
HOME > 상·장례 자료실 > 종교별

임종

1~2일차 까지는 유교식 장례와 같으나, 영결식은 다르다.
3일차 장례식(유교식에서 ‘영결식(발인)’)을 ‘다비식’이라 한다.
다비란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화장을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3일차 영결식(발인)을 스님께서 와서 행해주고 장지로 간다.
화장 시 시신을 분구 안에 모시고 화장이 끝날 때까지 염불을 멈추지 않는다.
화장이 종료되면 흰색 창호지에 유골을 받아서 상주에게 주고, 상주는 이를 쇄골한다.
주례스님이 있는 절(또는 납골당)에 봉안하고 제사를 지낸다.
봉안한 절에서 49재와 100일제를 지내고 삼 년 제사를 모신다.
이 시기에 절에 가지 못해도 주례스님이 대신 제사를 지내준다.
삼 년 제사가 끝나면 봉안당의 사진을 떼어 간다.
이것은 전통상례에서 궤연(几筵 : 죽은 사람에게 딸린 모든 것을 차려놓는 곳)을 철거하는 것과 같다.
궤연이란?
궤연이란 탈상할 때까지 고인의 영혼을 모시는 염좌이다.
조용한 방에 병품을 치고, 교의(交椅)를 놓고, 교의 위에 혼백과 위패를 모시고, 그 앞에 제상(祭床)과 향탁(香卓)을 마련한다.
고인께서 평소에 쓰시던 물건을 궤연에 올려놓는다. 이후 탈상할 때까지 조석전과 상식을 올린다.
오곡백과 중 어느 것이라도 새로 수화한 것이 있으면 고인께 먼저 올리는데 이를 천신(薦新)이라고 하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평소보다 좋은 것으로 올리는 것을 삭망(朔望)이라 한다.
대상(大祥)을 지낸 다음 궤연을 철거하면서 혼백을 무덤가에 묻고, 신주는 사당에 모셨다.
요즘은 유림(儒林)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궤연을 모시는 경우가 거의 없다.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3395
장례접수 : 1544-6211l이메일 : seyoung228@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131-93-21261l상조서비스
Copyright (c) 2024 by www.공공기관상조.com All right Reserved.